
사진. 펀진
국방 버티컬 AI 전문기업 펀진은 오늘 20일부터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ADEX 2025(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)에 참가해 ‘미래 전장의 심장, 초거대 KWM’을 소개한다고 밝혔다.
펀진은 이번 전시에서 전자기스펙트럼 정찰 시스템 ‘KWM-Ocelot’과 실시간 첩보 연동이 탑재돼 더 진화한 AI 참모 시스템 ‘KWM(Kill-Web Matching)’을 중심으로 부스를 구성했다.
특히, 무인이동체 임무수행 플랫폼 ‘KWM-stA’와 차세대 군수자동화 시스템 ‘KWM-RANZA’ 새롭게 선보이며, 국방 버티컬 AI 전문기업으로서 한걸음 더 전진한다.
펀진은 기존 KWM의 표적 인식 부분에서 KWM-Ocelot의 RF 탐지 기술과 첩보 연동 체계를 통합하여, 기존 정찰 시스템인 EO/IR 카메라가 가진 한계를 극복했다. 이는 AI 기반 전장 자동화를 완성한 초거대 KWM 체계의 일부분으로 추후 펀진이 공개할 기술에 더 큰 기대를 불러모은다.
또한, 처음 공개되는 ‘KWM-stA(standalone AI)’는 전술차량 탑재형 MUM-T C2 시스템으로, 유·무인 협업을 지원하는 독립형 전장관리체계다. 지휘통제 차량 내에서 드론(UAV)이나 무인차량(UGV)을 실시간으로 이륙·탐지·복귀 제어할 수 있으며, AI 기반 표적 분석과 임무 생성 기능을 통해 정찰·감시·표적획득 임무를 무인체계가 자율적으로 수행한다. 운용자는 복잡한 장비 지식 없이 직관적인 UI를 통해 임무를 제어할 수 있으며, 향후 네트워크 중심전 단계에서 통합전술망과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.